부동산 가계약 잘못하면 소중한 내 돈을 적게는 수백에서 수천만 원까지 잃게 됩니다. 이 글 끝까지 읽어보시고 부동산 가계약전 이것만큼은 꼭 짚고 넘어가시길 당부드립니다.

부동산 가계약금은 부동산 거래 시에 계약 체결을 확정하기 위해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지불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가계약금은 부동산 매매나 임대차 계약의 체결을 위해 요구되며 계약금액의 10%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3억짜리 계약을 한다면 계약금은 10%인 3천만 원이 될 것이고, 가계약금은 계약금의 10%인 3백만 원 정도가 됩니다.
가계약금은 거래 상대방에게 거래 의사와 신뢰를 보여주고, 거래를 확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매자가 가계약금을 지불하면 판매자는 해당 부동산을 다른 구매자에게 팔지 않는 것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가계약금은 거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가계약금은 계약이 체결되고 난 후에도 환불이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계약서와 관련 법률에 명시되어 있으며, 계약 조건을 검토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계약이 해지되는 경우에는 가계약금이 반환되는지 여부와 반환 조건도 확인해야 합니다. 우리는 오늘 이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마음에 드는 아파트가 있는데 전세 가격은 3억입니다. 너무 마음에 드는 매물인데 부동산에서 이 매물 현재 세 분이 오늘 보고 가셨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로 가계약이라도 하지 않으면 다른 분께서 선점하실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제대로 살펴보진 않았지만 혹시나 빼앗길지도 모르겠다는 심리가 작용해 일단 가계약을 해야겠다고 마음먹게 됩니다.
가계약을 하고 돌아와 곰곰히 생각해 보니 마음에 켕기는 게 많습니다. 주거 환경은 좋은데 왠지 조금 비싼 거 같기도 하고, 낮에 봤던 주차장이 좀 아쉽기도 합니다. 아까는 분명 120% 마음에 들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좀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부동산 실장님 말에 넘어가 계약한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단 마음을 가라앉히고 이 아파트를 놓치게 되더라도 일단 가계약은 취소하고 다시 자신이 리드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다음날에 전화를 했더니 가계약을 취소하려면 계약금 전체를 배상해야 한다고 합니다.
말 잘해서 가계약금 300만원도 받아내 볼까 했는데 뜬금 3천만 원을 물리게 생겼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 때문일까요? 그것은 바로 가계약시 주고받은 문자 때문입니다.

가계약 당시 위 3개의 문자중 어떤 문자를 받았기 때문에 가계약 임차인이 계약금까지 물어야 했을까요?
바로 2번 입니다. 구매자가 무엇을 포기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표기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3번을 보시면 "임대인은 입금액 포기후"라는 명확한 위약금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3번 메시지를 받았다면 가계약금까지만 잃게 됩니다. 반대로 1번은 아무 내용도 없는 것과 마찬가지 이기 때문에 가계약금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꿔 말하면 아무 내용도 없기 때문에 임대인도 일방적으로 거래를 끊을 수 있습니다.

가계약은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리스크를 부담하게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임차인도 어느정도의 리스크를 부담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3백만 원 대신 3천만 원을 잃는 것에 비하면 매우 현명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니 부동산 가계약시 반드시 3번 메시지의 내용을 담아야 합니다.
이 부분에 관하여는 공인중개사에게 명확하게 확인 하셔야 합니다.
반대의 경우로 임대인이 본 계약을 방해하거나 거절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임차인이 심리적 시간적 손해를 입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위약금도 받아야 마땅합니다. 2번 메시지에는 "임대인은 배액배상"이라는 문구가 있지만 보다 완벽하게 하려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담아야 합니다.

세상에 싸고 좋은 물건은 없습니다. 특히 부동산은 일상중 가장 고액을 거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공인 중개사 중에서도 돈만 보고 영업하시는 분들이 있는 반면 신의를 가지고 자신의 고객이 자신의 중개물을 통해 일상의 안녕과 사업의 발전을 기원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부디 좋은 공인중개사를 만나셔서 정당한 금액을 지불하시고 금액에 합당한 서비스도 요구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저는 또 좋은 정보 준비해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저당" 모르면... 사기 당하기 딱 좋아요. (0) | 2023.06.01 |
---|---|
왜 아파트 신축 분양을 받아야 하는가? 청약 저축을 해야 하는 이유 (0) | 2023.05.31 |
주택법상 도시형생활주택, 그리고 건축법과의 관계. (0) | 2023.05.26 |
전세사기란 무엇인가? 전세사기 유형 다섯가지 알아보고 재산 지키세요. (0) | 2023.05.25 |
아파트 분양을 받아야 하는 이유 다섯 가지 (0) | 2023.05.23 |
댓글